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장흥 선학동 유채꽃(2021년 5월 15일) 장흥 선학동의 유채는 냉해를 피하기 위해 조금 늦게 파종을 한다고 해서 이번에는 만개한 유채꽃을 보려고 조금 늦게 왔더니 오히려 유채꽃이 많이 져버려서 조금 실망했다. 일부 구간에서는 벌써 메밀꽃들이 핀 곳도 있었다. 코로나 19 시기에 산책하기에는 최적의 장소였다. 가을에는 메밀꽃이 필 때 와보야겠다. 유채꽃들이 많이 져서 노란 빛깔보다는 푸른 빛깔이 더 진하다. 벌써 메밀꽃이 피어있다. 지칭개 꽃이라고 한다. 금계국. 찾아보니 자주 괭이밥이라고 함. 더보기 그림 같은 수목원/그림이 있는 정원(2021년 5월 9일: 충남 홍성군 광천읍) 고운식물원을 구경하고 집으로 가는 도중에 오랜만에 광천읍에 있는 그림이 있는 정원에 가보기로 하고 내비에 입력을 해봐도 그림 같은 수목원으로 개명을 해서 그런지 검색이 잘 안 되었다. 그림 같은 수목원은 TV 인간극장에서 방영해서 많이 알려진 곳으로 고인이 되신 아버지가 장애가 있는 아들을 위해 수십 년에 걸쳐 조성한 수목원이다. 봄꽃들이 만개할 때에는 아주 멋진 곳인데 시기가 너무 지나서 봄꽃들은 없었으나 산책할 겸 대충 둘러보았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주 관람로 등을 안내하는 표시가 없어서 동선을 정하기가 어려웠다. 라일락꽃이 만개해서 라일락향이 도처에서 풍겼다. 봄꽃들이 만개한 그림이 있는 정원/그림같은 수목원 사진: blog.daum.net/doc628/7 그림이 있는 정원(충남 광천: 2010.. 더보기 청양 고운식물원(2021년 5월 9일) 청양의 고운식물원을 작년보다 빨리 갔는데도 올해는 봄이 매우 빨라와서 흔히 보던 다양한 봄꽃들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식물원 측에서 아직 노지의 함박꽃(작약)은 아직 피지 않았으나 유리 천정이 있는 중앙 광장에서 여러 종류의 만개한 함박꽃들을 전시해 놓아서 아쉬움을 달래기에 충분했다. 특히 아내가 향이 좋아 좋아하는 라일락꽃이 만개해 있었다. 고운식물원에서 만 보는 손수건 나무의 꽃. 매발톱 꽃. 국화과의 종이꽃. 작약(함박꽃) 토끼 귀 모양이면 일반적으로 프렌치 라벤더인데 잉글리시 라벤더(?)로 표시되어 있다. 인동초의 꽃. 라일락. 크레마티스. 좌측은 바위가 아니고 낙우송의 호흡근 설구화. 앵초과의 프리뮬러 불두화. 설구화와는 잎의 모양이 다르다. 산딸 나무. 앵초. 백송. 서양 측백나무. 백당나무.. 더보기 전주 수목원(2021년 5월 5일) 어린이 날에 먼저 한국 도로공사 전주 수목원을 구경한 후에 태인의 백학정에 저녁을 먹기로 하고 수목원에 도착해 보니 생각보다 많은 인파가 몰려 주차를 하기가 어려웠다. 넓은 부지에 조성된 수목원은 시민을 위한 공원과 수목원을 접목한 형태여서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들과 연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수목원인 것 같다. 더보기 죽화경(2021년 5월 2일: 전남 담양군 봉산면) 담양의 죽화경은 전남 제2호 민간 정원으로 지정된 곳으로 특히 5월 중순 경에 장미꽃으로 잘 알려진 곳인데 사전 답사 겸 산책 삼아 미리 가보았다. 예상대로 지금은 초봄에 피는 꽃들은 물론 철쭉꽃도 다 져버려서 설구화, 아이리스(붓꽃), 공조팝 꽃 등만 피어 있었다. 정원이 관람로인 좁은 오솔길을 따라 완만한 언덕을 올라갈수록 부채꼴 모형으로 정원의 폭이 넓어지면서 쉬어갈 수 있는 공간들이 많은 곳에 조성되어 있었다. 비밀의 화원을 둘러보듯 이곳저곳을 구경하는 재미도 있었다. 아내도 매우 만족해하며 장미꽃 기간에는 물론이고 가까우니 자주 산책하러 오자고 한다. 붓꽃(아이리스) 불두화. 일본 붓꽃. 작약(함박꽃) 대나무 지지대들은 장미꽃 지지대. 라일락꽃. 알리움. 공조팝 꽃. 위 부분이 자작나무와 비슷한.. 더보기 모란이 만개한 백운동 정원/원림(2021년 4월 25일: 전남 강진군) 백운동 정원을 찾아가기가 쉽지 않았다. 내비로 안내를 받으니 설록다원 강진 근처의 백운로에 있는 주차장으로 안내를 하였다. 답답하고 좁고 으슥한 숲 속 길을 따라 내리막 길을 300여 미터를 이 길을 따라 내려가 보니 아스팔트로 포장된 길이 나타나서 황당했다. 아내를 그곳에서 기다리라고 하고 언덕을 다시 올라가서 주차장에 도착 후에 지도를 다시 보고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537-5"를 입력하니 길이 좁기는 하나 차로 백운동 정원의 주차장에 도착할 수 있었다. 백운동 정원/원림은 담양의 소쇄원, 완도 부용동 정원과 함께 호남의 3대 정원으로 초의선사가 그린 백운첩을 기반으로 복원한 정원/원림이라 한다. 모란꽃. 불두화. 철쭉. 함박꽃나무의 꽃으로 목단이라고도 하며 북한의 국화라고 함. 백운첩의 백운동 1.. 더보기 월출산 유채꽃(2021년 4월 25일) 지난주에 좀처럼 걸리지 않은 감기 기운이 있어서 코로나 19 시대인지라 외출을 자제하고 보니 기대했던 선암사의 겹벚꽃의 시기를 놓쳐버렸다. 간단히 드라이브 겸 유채꽃이 피어있는 곳을 가기로 하고 월출산에 도착해보니 일부 구간에만 유채꽃들이 남아 있었다. 천황사 입구에서 본 월출산. 금릉 경포대 입구에서 본 월출산. 설록 다원 강진. 더보기 마이산 은수사의 만개한 청실배나무(2021년 4월 4일: 전북 진안군) 마이산의 벚꽃을 보러 올 때에는 꼭 탑사를 지나 숫마이봉(681m)과 암마이봉(687m) 사이에 위치한 은수사에 있는 수령 650여 년인 만개한 청실배나무를 보는 기대감이 있다. 약간 푸른빛을 띠는 하얀 꽃들이 만개한 청실배나무는 숫마이봉과 함께 어우러져 멋진 장관을 보여준다 숫마이봉(681m) 암마이봉(687m) 더보기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97 다음